안녕하세요. 캌캌입니다.
미국 주식이나 국내 주식을 공부하면서 한 번쯤은 펀드를 들어봤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패시브 펀드(인덱스 펀드)와 액티브 펀드는 무엇일까요.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펀드
우선 펀드란 무엇일까요?
펀드는 자산운용사가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은 다음에 주식 및 채권과 같은 여러 가지 투자 상품을 통해 운용한 후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간접 투자 상품입니다. 펀드에도 당연히 수수료가 존재합니다.
2. 패시브 펀드(인덱스 펀드)
패시브 펀드(인덱스 펀드)는 매우 단순합니다. 시장을 예측하거나 개별 주식을 다른 전문 자산관리사들을 능가하려는 대신, S&P500, NASDAQ같이 시장지수의 모든 주식을 매입해 보유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ETF와 같은 투자 상품이 있습니다.
장점
- 최소한의 비용
- 자산관리사에게 지불하는 높은 수수료도 없고, 거래비용 또한 낮다.
- 최소의 비용으로 극도로 다각화된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수 있다.
3. 액티브 펀드
액티브 펀드는 패시브 펀드와 반대의 개념입니다. 패시브 펀드가 시장지수를 추종하여 평균의 수익을 낸다면 액티브 펀드는 자산운용사의 펀드매니저가 직접 운용하여 평균 이상의 수익률을 목적으로 운용합니다. 따라서 패시브 펀드보다 적극적인 운용 전략을 사용합니다.
장점
- 좋은 펀드에 투자했을 때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단점
- 잦은 매매로 인한 수수료가 높다.
- 적극적인 운용을 통한 위험도가 높다.
4. 뮤추얼 펀드
뮤추얼 펀드는 일반 펀드와 다른 점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순서가 다를 뿐입니다. 일반 펀드, 즉 펀드는 자산운용사가 펀드를 만들어 투자자를 모집지만 뮤추얼 펀드는 반대입니다. 투자자에게 돈을 모은 모은 다음에 펀드 투자를 하기 위한 회사를 차리는 형태입니다. 액티브 펀드의 일종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5. 헤지 펀드
헤지펀드는 고액 자산가만이 참가할 수 있는 폐쇄형 펀드입니다.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시장의 상승이나 하락 어느 쪽에든 돈을 걸 수 있는 고도의 융통 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당한 운용수수료(약 2%)와 투자수익(약 20%)을 가져갑니다.
6. 액티브 펀드와 패시브 펀드 중 무엇이 좋을까?
투자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자기 자신의 목표에 따라 펀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만약 자신이 많은 위험을 감수하고 높은 수수료를 제공해서라도 시장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고 싶으면 액티브 펀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패시브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직접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이에 따른 이점은 장기투자에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장기투자를 하고 싶다면 패시브 펀드에 투자하면 됩니다.
필자가 투자하고 있는 방법을 말씀드리면 S&P500을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국내 증권사에서 투자를 하여도 되지만 해외 증권사에서 만든 상품에 직접 ETF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액티브 펀드와 패시브 펀드 그리고 뮤추얼 펀드와 헤지 펀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저도 주식을 처음 시작했을 때 이 개념들을 몰라 공부한 기억이 있습니다.
주식을 처음 할 때 막막했던지라 멘토가 한 명이라도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공부하면서 이럴 때 힘들었다던가 이건 어떻게 했으면 더 좋았을 텐데라고 생각했던 것들을 더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투자의 판단은 본인의 몫입니다.*
'재테크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0) | 2021.12.25 |
---|---|
투자의 대가들은 왜 인덱스 펀드( ETF)에 투자하라는 걸까? (0) | 2021.12.20 |
KB증권에서 키움증권으로 외화이체하는 방법(수수료x) (1) | 2021.12.15 |
미국 시장 지수 정리 (feat. S&P 500, NASDAQ, DJ, Russell) (0) | 2021.12.11 |
ETF란 무엇인가? - 개념 총 정리 (0) | 2021.12.11 |